총괄 기관 협업 사업 때 가능…지역 화폐 사용 쏠림 현상 등 극복해야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세종의 지역 화폐 온통대전과 여민전의 두 도시에서 통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불가능 것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지역 화폐 통용은 대전 지역 화폐 온통대전을 세종에서 사용하거나, 세종 지역 화폐 여민전을 대전에서 사용해도 사용 금액에 따른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처럼 지역 화폐 통용을 위해서는 대전시와 세종시의 캐시백 예산 분담을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 세종시는 재원 문제를 이유로 곤란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해 여민전 발행액은 1787억원에 그쳐, 대전 지역 화폐 온통대전의 발행액 9000억원에 비해 약 20% 수준에 불과하다.

이 같은 발행액의 차이는 대전과 세종에서 지역 화폐 통용이 현실이 됐을 때 대전시에 비해 세종시가 더 많은 캐시백 예산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화폐 통용을 위해 다른 지방 자치 단체에 예산 지원은 불가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통용까지는 쉽지 않은 검토와 논의를 거쳐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세종 협업 사업으로 지역 화폐 통용을 위한 운영비 지원 형태로 가능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대전시가 세종시에 또는 그 반대의 경우처럼 지자체가 지자체로 직접 지원할 수는 없지만, 총괄 기관에 각각의 지자체가 예산을 지원할 수는 있다는 것이다.

대전·세종, 충남·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로 이뤄져 있는 충청권 행정 협의회와 충청권 경제 협의회가 그 대표적인 기관이다.

방식은 각각의 지자체가 지역 화폐 통용하기 위한 캐시백 지원 예산을 운영 예산으로 편성해 충청권 경제 협의회 등에 넘기는 형태다.

결론적으로 캐시백 예산을 누가 얼마나 더 부담할 지 결정이 대전·세종 지역 화폐 통용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특히 충청권 메가 시티를 정점으로 본다면, 충남도의 15개 지역 화폐, 충북도의 11개 지역 화폐도 모두 통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반면 충청권의 지역 화폐 전체를 통용한다면 대 도시로의 쏠림 현상도 극복해야 한다는 점에서 지역 화폐 통용에 난항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대전시 지역 화폐 온통대전의 경우에도 이미 서구와 유성구의 쏠림 현상이 문제로 지적 받은 전례가 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